넥슨 2020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로스터 등 이모저모
샌드박스 게미밍 / SANDBOX Gaming | ||||
포지션 | 러너 | 스피드 에이스 | 러너 | 스위퍼 |
선수명 | 유창현 | 박인수 | 김승태 | 박현수 |
2019 시즌 전체를 휘어잡은 샌드박스는 별도의 선수 교체 없이 이번 시즌을 맞이합니다. 과연 e스포츠 리그 전체로 봤을 때도 보기 드문 3연속 우승을 기록할 수 있을까요?
한화생명 e스포츠 / Hanwha Life Esports | |||||
포지션 | 스피드 에이스 | 스위퍼 | 러너 | 아이템 에이스 | 스위퍼 |
선수명 | 문호준 | 최영훈 | 배성빈 | 이은택 | 박도현 |
한화생명은 작년 팀전은 계속 샌드박스에게 덜미가 잡히며 우승을 실패했는데,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까요? 입대 전 마지막 리그 참여가 확실한 이은택 선수가 있어, 멤버들 간의 확실한 동기부여는 있는데 말이죠.
아프리카 프릭스 / Afreeca Freecs | |||||
포지션 | 러너 | 스위퍼 | 러너 | 스피드 에이스 | 아이템 에이스 |
선수명 | 전대웅 | 정승하 | 최윤서 | 유영혁 | 강석인 |
아프리카는 이번 스토브리그에서 여러 의미에서 화제가 된 팀이었는데, 그게 부정적인 여론이 주류가 되어버렸습니다. 이걸 뒤집으려면 최소 결승은 가야 할 거 같은데, 기복이 너무 심한 것이 문제네요.
락스 랩터스 / ROX Raptors | |||||
포지션 | 미들 | 스피드 에이스 | 아이템 에이스 | 러너 | 스위퍼 |
선수명 | 김응태 | 이재혁 | 사상훈 | 한승철 | 송용준 |
락스는 멤버 교체 없이 두 번째 시즌을 맞이했는데, 저력을 보여준 스피드전에 비해 부실하기 짝이 없는 아이템전이 얼마나 보강되었는지가 관건이 되겠습니다.
오즈 게이밍 / Oz Gaming | |||||
포지션 | 러너 | 아이템 에이스 | 스위퍼 | 스피드 에이스 | 러너 |
선수명 | 김기수 | 서정현 | 문민기 | 이재인 | 우성민 |
오즈(구 긱스타)는 김승래 선수가 코치로 보직을 옮기고 이재인 선수를 제외하면 PATHOS 선수들로 채웠습니다. 다만 문민기 선수는 공백이 꽤 길었고, 락스 못지않게 약한 아이템전 실력을 빨리 올려야 될 거 같네요.
엑스퀘어 / Xquare | |||||
포지션 | 스피드 에이스 | 스위퍼 | 러너 | 아이템 에이스 | |
선수명 | 안혁진 | 이현진 | 노창현 | 오성현 | 이지우 |
엑스퀘어는 예선전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며 진출했는데 최약체라는 평가가 큰 편입니다. 첫 출전인 노창현/이지우 선수의 방송 리그 적응이 얼마나 되는지가 큰 관건이 되겠습니다.
퍼스트 에이 / First A | |||||
포지션 | 러너 | 스위퍼 | 스위퍼 | 스피드 에이스 | 아이템 에이스 |
선수명 | 양민규 | 유관영 | 장건 | 임재원 | 정승민 |
퍼스트 에이는 아마추어 팀 중에서 가장 강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겠습니다. 특히 아이템전은 프로팀을 상대로도 승리를 거둘 정도로 강하나 확실한 에이스 결정전에서 밀어줄 수 있는 선수가 없다는 점이 약점이 되겠습니다.
휠즈 / WHEELZ | |||||
포지션 | 스피드 에이스 | 스위퍼 | 스위퍼 | 러너 | 아이템 에이스 |
선수명 | 신종민 | 윤정현 | 김지민 | 홍희권 | 전진우 |
휠즈는 이번 스토브리그에서 벌어진 아프리카의 만행으로 출전이 불투명했던 신종민 선수를 필두로 박인재 락스 감독이 픽한 멤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본래 멤버인 황인호 선수는 군 문제로 홍희권 선수로 교체되었는데, 이 팀은 아이템전을 전문적으로 하는 선수가 없어 아이템전 최약체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 다만 박인재 감독의 구상안으로는 다섯 선수가 매 경기마다 고정된 포지션 없이 섞어 출전할 수 있기에 변수를 일으키기 좋은 팀이 아닐까 싶습니다.
<트랙>
팀전 | 개인전 | |
스피드전 | 아이템전 | |
어비스 바다 소용돌이 | 어비스 지상으로 가는 길 | 어비스 숨겨진 바닷길 |
어비스 숨겨진 바닷길 | 쥐라기 아슬아슬 화산 점프 | 어비스 스카이라인 |
WKC 투어링 랠리 | 대저택 루이의 서재 | 도검 구름의 협곡 |
대저택 은밀한 지하실 | 차이나 빙등축제 | 쥐라기 공룡섬 대모험 |
차이나 골목길 대질주 | 동화 카드왕국의 미로 | WKC 싱가폴 마리나 서킷 |
황금문명 비밀장치의 위협 | 팩토리 거대톱니의 위협 | 동화 이상한 나라의 문 |
노르테유 익스프레스 | 광산 3개의 지름길 | 해적 숨겨진 보물 |
광산 아슬아슬 궤도 전차 | 광산 뽀글뽀글 용암굴 | 공동묘지 마왕의 초대 |
빌리지 익스트림 경기장 | 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 | 아이스 아찔한 헬기 점프 |
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 | 사막 피라미드 탐험 | 포레스트 지그재그 |
- 팀전-스피드전은 [어비스 바다 소용돌이]를 첫 트랙으로 고정.
- 신규 테마는 스카이라인 제외하고 모두 포함되었음, 신화/도검/네모/월드 테마는 배제됨.
- 시즌 제로 이후 자주 픽이 되지 않았던 트랙이 많이 뽑혔고, 특히 [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]와 [빌리지 익스트림 경기장]은 출시 12년 만에 처음 선택됨.
- [차이나 서안 병마용]과 [월드 두바이 다운타운]이 사라진 부분에 대해서 불평인 의견이 있으나, 병마용은 15차 리그부터 7년간 계속 선택된 트랙이라 배제되었을 수도 있음.
- [광산 아슬아슬 궤도 전차]는 현 메타와 어울리지 않는 맵+극단적인 트랙이라는 점에서 경기 0회 트랙이 될 가능성이 높음.
- 팀전-아이템전은 [어비스 지상으로 가는 길]를 첫 트랙으로 고정.
- 신규 테마는 [어비스 지상으로 가는 길]만 선정.
- 기존 트랙은 [광산 뽀글뽀글 용암굴]과 [아이스 신나는 하프파이프]를 제외하면 전부 교체됨.
- [사막 피라미드 탐험], [동화 카드왕국의 미로], [대저택 루이의 서재], [쥐라기 아슬아슬 화산 점프]가 오랜만에 등장.
- 전체적으로 트랙 난이도가 꽤 높은 축에 속하여 주행 능력의 필요성이 대두됨.
- 개인전은 [어비스 숨겨진 바닷길]을 첫 트랙으로 고정.
- [도검 구름의 협곡]을 제외한 모든 트랙이 교체.
- 3차 듀얼 레이스와 마찬가지로 운동장 트랙이 전부 아웃.
<카트바디>
스피드전 카트바디 | 아이템전 카트바디 | ||
골든 코튼 X | 히드라 X | 바스테트 X | |
드래곤 세이버 X | 베히모스 X | 전기톱 X | |
스팅레이 X | 곰신 X | 모비딕 X | |
스펙터 X | 스쿠너 X | 궁니르 X | |
흑기사 X | 국제선 X | 루루 X | |
백기사 X | 꽃마차 X | 크리스마스 캔디 9 | |
황금기사 X | 루나 9 | 블랙샤크 9 | |
태극 X | 홍련 9 | 저스티스 9 | |
스피드전은 등급에 상관 없이 레전드 X 엔진 카트바디만 허용되었으나, [황금마차 X]는 레어급이라 제외되었음. | 황금 골머리 9 | 암흑 골머리 9 | |
천사의 지팡이 9 | 판저 9 |
<일정>
개인전 | 팀전 | ||
32강 | 2020. 1. 4. ~ 2020. 2. 8. | 8강 풀리그 | 2020. 1. 4. ~ 2020. 2. 22. |
16강 | 2020. 2. 15. ~ 2020. 3. 14. | 4강 풀리그 | 2020. 2. 26. ~ 2020. 3. 7. |
팀전 플레이오프 | 2020. 3. 14. | 개인전/팀전 결승 | 2020. 3. 21. |
32강~16강 : 50pt | 결승 : 80pt (1R)/1:1 Bo 5(2R) | 8강~4강 : Bo 5/SET Bo 3 | 플옵~결승 : Bo 7/SET Bo 3 |
'eSports > 카트라이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2일차 경기 (0) | 2020.01.08 |
---|---|
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1일차 경기 (0) | 2020.01.04 |
넥슨 2020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예선전 결과 (0) | 2019.12.16 |
넥슨 2020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 1 프로팀 로스터 (0) | 2019.12.09 |
샌드박스 게이밍, 카트 팀 전원과 재계약 (0) | 2019.11.27 |